나코더 기장 재민이는 동아리 회식을 준비하기 위해서 장부를 관리하는 중이다.
재현이는 재민이를 도와서 돈을 관리하는 중인데, 애석하게도 항상 정신없는 재현이는 돈을 실수로 잘못 부르는 사고를 치기 일쑤였다.
재현이는 잘못된 수를 부를 때마다 0을 외쳐서, 가장 최근에 재민이가 쓴 수를 지우게 시킨다.
재민이는 이렇게 모든 수를 받아 적은 후 그 수의 합을 알고 싶어 한다. 재민이를 도와주자!
첫 번째 줄에 정수 K가 주어진다. (1 ≤ K ≤ 100,000)
이후 K개의 줄에 정수가 1개씩 주어진다. 정수는 0에서 1,000,000 사이의 값을 가지며, 정수가 "0" 일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 쓴 수를 지우고, 아닐 경우 해당 수를 쓴다.
정수가 "0"일 경우에 지울 수 있는 수가 있음을 보장할 수 있다.
재민이가 최종적으로 적어 낸 수의 합을 출력한다. 최종적으로 적어낸 수의 합은 231-1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INPUT//
4
3
0
4
0
//OUTPUT//
0
//INPUT//
10
1
3
5
4
0
0
7
0
0
6
//OUTPUT//
7
저번에 공부한 스택을 이용할 것이다.
➡ 중요한 것은 스택은 인덱싱이 안 된다는 것이다!
➡ 저번에 구현한 것은 내가 마음대로 만든 거라서, 배열로 만들어서 가능했지만, STL을 가져오면 인덱싱을 통해서 총합을 구하려고 하면 안 된다.
➡ top()과 pop()함수를 이용해보자.
➡ 반복문(for문)을 돌리고, top()과 pop()을 번갈아 사용하면서 모든 값을 가져갈 것이다.
➡ 중요한 것은 반복문의 한계점에 size()함수를 그대로 사용하면 안 된다. pop()시에, size가 줄어들어, 의도했던 대로 끝나지 않게 된다.
#include <iostream>
#include <stack>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os_base::sync_with_stdio(false); cout.tie(NULL),cin.tie(NULL);
stack<int> series;
int K = 0, num=0, sum=0;
cin >> K;
while (K--) {
cin >> num;
switch (num) {
case 0:
series.pop();
break;
default:
series.push(num);
break;
}
}
int length = series.size();
for (int i = 0; i < length; i++) {
sum += series.top();
series.pop();
}
cout << sum;
return 0;
}